분류 전체보기110 한국인 최초, 2024년 노벨문학상 : 작가 한강 노벨문학상 선정위원회인 스웨덴 아카데미(스웨덴 한림원)가 2024년 10월 10일 저녁 8시(한국 시각)에 2024년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한국 작가 한강을 선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스웨덴 한림원은 “역사적 상처에 직면하고 인간 삶의 취약성을 노출시키는 한강의 시적 산문”을 이유로 그에게 노벨문학상을 수여한다고 밝혔다. 작가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은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이며, 아시아인 여성 작가로서도 최초입니다. 한국인 노벨상 수상은 김대중 전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인데요. 대한민국 국민의 한사람으로서 수상의 기쁜 소식과 함께 작가 한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한강(韓江) 프로필 작가 한강은 1970년 광주광역시 중흥동에서 소설가 한승원의 딸로 태어났습니다. 풍문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연.. 2024. 10. 11. 한국 가정의 제사 문화 : 기원과 종류, 제사 상차림, 제사의 변화 우리나라 가정의 제사 문화는 오랜 세월 동안 전통을 이어오며, 조상에 대한 존경과 가족 간의 유대감을 표현하는 중요한 의식으로 자리 잡아 왔습니다. 제사는 단순히 조상을 기리기 위한 의식일 뿐만 아니라, 가정 내에서 조상과 후손의 연결고리를 유지하고 가족 간의 결속을 다지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국 가정에서 이어온 제사의 기원과 의미, 제사의 종류, 제사 상차림, 제사의 변화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가정 제사의 기원과 의미 제사는 고대에서부터 이어져 온 조상 숭배 사상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조상들은 죽어서도 후손을 지켜주고 가문을 보살펴 준다고 믿었으며, 이러한 믿음이 제사라는 의식으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제사는 조상에게 감사와 존경을 표현하고, 그들의 유산을 기리기.. 2024. 10. 6. 성웅 이순신 장군 : 임진왜란의 빛나는 전공과 유산 이순신 장군은 우리 역사에서 자랑스러운 영웅일 뿐만 아니라, 임진왜란 중에 세계적으로도 유래가 없을 정도의 엄청난 활약을 했던 분입니다. ㅇ 임진왜란에서의 전공 23전 23승의 신화로 많이 알려지기도 한 이순신 장군의 임진왜란의 전공은 세계적으로 유래가 없는 기록이기도 합니다. 이 기록에 관하여 2012년 해군사관학교 제장명 교수(2024년 현재 순천향대, 이순신 연구소 소장)는 “난중일기·선조실록 등 여러 자료를 조사한 결과 이순신 장군의 실제 전적은 45전 40승 5무”라고 얘기한 바 있습니다. 45전의 전투를 치르면서도 한 번도 패하지 않은 것이죠. 다음 표는 제장명 교수의 책 '이순신 파워 인맥(2012)'의 자료를 인용한 것입니다. ※ 임진왜란 해전 일람표 : 왜란 중 총 49회의.. 2024. 9. 29. 성웅 이순신 장군 : 그의 삶의 발자취에서 배우는 교훈 이순신 장군은 우리 역사에서 가장 존경받는 인물 중 한 명입니다. 멸망의 위기에 처한 나라를 구한, 그래서 이름 앞에 수식어를 붙여 성웅 (聖雄) 이순신 장군으로 부르기도 하죠. 하지만 그의 삶은 오직 군사적 승리에 그치지 않고, 그가 삶 속에서 보여준 여러 덕목과 리더십으로 인해 더욱 빛났습니다. 그가 직면했던 많은 삶의 기로에서 보여준 결단력과 지혜는 오늘날 우리에게도 중요한 교훈을 줍니다. 이 글에서는 이순신 장군의 일생을 돌아보고, 그가 선택한 길에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배워야 할 점들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출생과 성장 : 철저한 준비 이순신 장군은 1545년 서울 건천동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젊은 시절부터 무과 시험을 준비하며 성실함과 절제를 배웠습니다. 1576년 무과에.. 2024. 9. 27.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