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의 문화

2024년 9월 7일은 백로(白露)

by 조은 친구 2024. 9. 2.
반응형

  오는 9월 9일은 1년을 24개로 구분한 24절기 가운데 열다섯 번째 절기인 백로(白露)입니다.

 

백로(白露)는 '힌 이슬'을 뜻하며 가을이 시작됨을 알립니다.

   절기상으로는 처서(處暑),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추분(秋分) 사이에 옵니다. 추석이 대개 이 기간에 걸치며, 음력으로는 8월에 듭니다.

   백로(白露)는 '흰 이슬'을 뜻하는데, 이것은 기온이 이슬점(대기 중의 수증기가 엉겨 물방울이 되는 온도) 이하로 내려가 밤사이에 나뭇잎과 잔디에 이슬이 맺히는 시기가 이때즘인 데서 유래합니다.


ㅇ 백로(白露)우리 문화

  백로(白露) 무렵에는 장마가 걷힌 후여서 맑은 날씨가 이어지고, 일조량이 많아 곡식이 여무는 데 좋습니다. 제철 음식으로 포도가 있어서 포도순절(葡萄旬節)이라고도 합니다. 간혹 태풍과 해일로 곡식의 피해를 겪기도 합니다. 전통적으로 전라남도 지역에서는 백로 전에 서리가 오면 시절이 좋지 않다고 여겼습니다.

 

   날씨에 민감한 농민들은 한해 쌀농사가 잘 되려면 백로 전에 벼가 여물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우리 속담에 칠월 백로에 패지 않은 벼는 못 먹어도, 팔월 백로에 패지 않은 벼는 먹는다”는 뜻의 ‘백로전미발(白露前未發)’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이 말은 '백로(白露) 전에 벼(쌀) 이삭이 나와야 한다'는 뜻입니다. 서리가 내리면 바람이 불고 기온이 뚝 떨어지므로 백로가 지나서 여문 벼는 열매를 맺기 어려워 수확량이 줄어들기 때문이죠. 

 

  백로(白露) 전후의 날씨는 농작물 수확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농가에서는 이 시기의 날씨를 유심히 관찰하여 풍년 또는 흉년을 점쳤으며, 이때 바람이 불면 벼농사에 해가 있을 것이라고 여겼습니다. 백로(白露)가 음력 7월 중에 드는 수도 있는데 제주도와 전라남도지방에서는 그러한 해에는 오이가 잘 된다고 합니다. 또한 제주도 지방에서는 백로(白露)에 날씨가 잔잔하지 않으면 오이가 다 썩는다고 믿습니다. 경상남도의 섬지방에서는 ‘백로(白露)에 비가 오면 십리(十里) 천석(千石)을 늘인다.’고 하면서 백로(白露)에 비가 오는 것을 풍년의 징조로 생각합니다.

 

   또 백로(白露) 무렵이면 고된 여름 농사를 다 짓고 추수까지 잠시 일손을 쉬는 때이므로 가까운 일가를 방문하기도 합니다. 또한 이 시기에 조상께 풍년을 기원하기도 해 백로가 되면 묵혀 뒀던 조상님 산소에 벌초를 나서는 풍속도 있습니다. 

 

ㅇ 백로(白露) 절기 음식

   녹두, 전어, 포도는 백로(白露) 시기에 나는 대표적인 제철 음식들입니다. 

 

   제철이란 자연의 순리에 따라 생물과 자연의 곡식들이 가장 활발히 발생하는 시기를 말하며, 제철에 나는 생물과 곡식들로 만든 음식, 즉 제철 음식을 섭취하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영양과 맛을 얻을 수 있습니다.



   적당한 시기인 9월 초에 돌아온 백로(白露)를 맞아 한해 농사는 물론 나와 우리 가정의 경제 농사도 한 가득 열매로 맺을 수 있게 잘 여물기를 기원해봅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