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의 한가운데에서 우리는 한가위를 맞습니다. 한가위는 단순한 명절을 넘어서 우리에게는 마음과 전통을 아우르는 특별한 날이기도 하죠. 오늘은 우리 민족의 대명절이자, 마음의 보름달인 한가위의 유래와 뜻, 그리고 함께 나누는 덕담과 풍속을 살펴보며, 한가위의 의미를 알아봅니다.
ㅇ 한가위(추석)의 뜻과 유래
한가위는 음력 8월 15일, 즉, 가을의 한가운데에 맞이하는 가장 큰 명절 중 하나입니다. '한가위'라는 말의 의미가 '큰(한) 한가운데(가위) 날'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죠. 한가위보다 오히려 더 많이 쓰이는 말이 추석(秋夕)이라는 명칭인데 '가을(달이 가장 밝은) 저녁'이라는 뜻이며, 또 다른 말로 가위, 가배(추석의 옛말, '가위'의 이두식 표기), 중추절(中秋節, 가을의 가운데)이라고도 합니다. 또한 한가위는 설날, 한식, 단오와 함께 우리나라 4대 명절 중 하나입니다.
추석을 명절로 삼은 것은 삼국시대 초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삼국사기'의 신라본기에 의하면, '신라 제3대 유리왕 때 도읍 안의 부녀자를 두 패로 나누어 왕녀가 각기 거느리고 7월 15일부터 8월 한가위 날까지 한 달 동안 두레삼 삼기를 하였다. 두레삼은 각 부락의 부녀자들이 매일 저녁에 차례로 집을 옮겨가며 길쌈을 하는 것으로, 일의 능률을 올리기 위하여 여럿이 노래하고 이야기하면서 하였다고 한다. 추석이 되면 이들은 많은 음식을 장만하여 담소와 가무로써 한껏 즐겼다. 마지막 날은 심사를 통해 승패를 가린 뒤, 진 편이 이긴 편에게 한턱을 내며 「회소곡會蘇曲」을 부르며 놀았다'고 합니다. 이처럼 신라시대에 이미 세시 명절로 자리 잡던 추석은 고려에 와서도 큰 명절로 여겨져 고려 가요 '동동'에도 8월 15일을 가배라고 하였으니 그 명칭이 고려 때까지도 이어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고려와 조선에서는 가배보다 추석이나 중추(中秋)라는 표현을 많이 사용했지만, 추석의 유래는 여전히 신라의 가배에서 찾고 있습니다. 조수삼은 『추재집(秋齋集)』에서 8월 15일을 추석이라고 하면서 이 말은 중추에 달구경을 하는 저녁, 혹은 가을(秋)에 햇곡식을 수확하여 농사가 마무리된 때를 저녁(夕)과 같은 것으로 여겨 이르는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이렇게 전통으로 이어져 온 한가위는 오늘날 가족과 이웃이 함께 모여 가을과 수확의 풍성함을 감사하며, 밝은 보름달 아래에서 정을 나누는 소중한 명절이 되었습니다.
* 헷갈리는 중추절 표기 : 仲秋와 中秋는 무엇이 다른가? 바로가기
ㅇ 한가위 풍속, 전통을 이어가다 : 추석에 담긴 의미와 세시풍속
추석(秋夕)은 음력 8월 15일로서, 1년 중 가장 큰 보름달이 뜨는 날입니다. 이 시기는 농경민족인 우리 조상들에게는 봄에서 여름 동안 가꾼 곡식과 과일의 수확을 할 계절이 되었음을 의미합니다. 농촌에서는 봄·여름철 농사일이 끝나고 오곡이 익는 계절인 만큼 풍요를 기리는 행사를 풍성하게 치렀습니다.
특히 추석은 농공감사일(農功感謝日)로서, 이날 명절 음식으로 송편을 빚어 조상에게 올려 차례를 지내고 성묘하는 것이 중요한 행사였습니다. 추석 전에 조상의 산소를 찾아 벌초하고, 추석날 아침에는 햇곡으로 빚은 송편과 각종 음식을 장만하여 조상들께 차례를 지내고 성묘합니다. 송편은 한가위의 대표 음식으로, 쌀가루로 둥글게 빚어 안에 콩, 밤, 깨 같은 소를 넣어 찌는데, 보름달을 닮은 모양과 가을의 풍요를 상징합니다. 이처럼 한 해의 수확물로 상을 차려 조상께 올리고, 가족과 함께 그 음식을 나누는 것은 조상의 은혜를 기리고 가족 간의 유대감을 돈독하게 만드는 소중한 전통입니다.
* 추석에는 왜 반달 송편을 먹나요? 바로가기
이처럼 조상에게 예를 갖추는 엄숙한 세시풍속이 있었던 반면, 강강술래나 씨름과 같은 세시놀이 또한 풍성하게 행해졌습니다. 강강술래는 여성들이 보름달 아래서 손을 잡고 원을 그리며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는 놀이로, 이는 공동체의 결속을 다지는 중요한 상징이기도 합니다. 이순신 장군의 명량해전과 관련되어 강강술래를 하는 부녀자들을 왜군이 보고 군사들이 많은 줄 오해하고 즉시 퇴각했다는 얘기가 전해오기도 하죠. 또한 남성들은 씨름으로 힘을 겨루며 친목을 다지면서 한가위의 즐거움을 더했습니다.
옛 추석의 풍습으로는 단연 풍성한 보름달을 구경하는 달맞이가 있습니다. 고려시대에는 왕도 추석에 각종 연회를 베풀고 달구경을 했는데, 예종 때 왕이 문신들을 거느리고 중광전에서 달구경을 하고 영월시(詠月詩)를 지으니 문신들이 이에 화답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충혜왕은 내탕고(內帑庫)에서 오종포(五綜布) 100필을 내어 신궁(新宮)에서 중추에 연회를 베풀었다고 합니다. 또한 우왕은 중추에 6도의 창우(倡優, 광대)를 불러 동강에서 각종 놀이를 베풀었는데, 국고로 이 놀이의 비용을 써서 재정이 탕진될 정도였습니다. 특히 달구경(看月·賞月)은 추석의 시제(詩題)로도 으뜸이었습니다.
이러한 전통 놀이를 통해 사람들은 몸과 마음을 함께 나누고, 한가위의 의미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었습니다.
ㅇ 한가위(추석) 덕담, 풍요와 행복을 나누다
한가위에 빠질 수 없는 것이 덕담입니다. 덕담은 좋은 말과 소원을 담아 서로에게 행복과 건강을 기원하는 전통입니다. 전통적인 덕담은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한가위만 같아라."라는 말을 많이 나누는데, 이는 한가위처럼 모든 것이 풍성하고 평온한 삶을 기원하는 뜻입니다.
오늘날에도 "행복 가득한 한가위 보내세요", "가족과 함께 따뜻한 명절 되세요" 같은 말로 서로의 건강과 복을 빌며 덕담을 주고받습니다. 덕담은 단순한 인사말을 넘어, 서로의 안녕을 진심으로 기원하는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ㅇ 한가위, 마음의 보름달을 채우는 시간
한가위는 단순히 음식을 나누고 차례를 지내는 날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한가위는 우리의 마음이 보름달처럼 차오르는 날입니다. 함께 모여 나누는 정과 덕담은 우리 마음에 따뜻함을 불어넣고, 전통 풍속은 우리에게 조상의 지혜와 유산을 되새기게 합니다.
올 한가위에는 소중한 사람들과 함께 풍성한 마음을 나누며, 감사하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밝게 떠오른 보름달처럼, 여러분의 마음도 환하게 빛나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우리의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젓가락 잡는 법, 젓가락 문화 알아보기 (0) | 2024.09.10 |
---|---|
한국인의 식사 예법 : 존중, 배려 그리고 감사의 표시 (0) | 2024.09.08 |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 한글, 과학과 창의성이 만난 자부심 (0) | 2024.09.06 |
2024년 9월 7일은 백로(白露) (0) | 2024.09.02 |
우리 전통 난방 문화의 자긍심, 온돌 문화 (0) | 2024.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