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2

젓가락 잡는 법, 젓가락 문화 알아보기 🥢 젓가락은 동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오랜 시간 동안 사용되어 온 중요한 식사 도구입니다. 특히 한국, 중국, 일본은 젓가락을 주 식사 도구로 사용하는 나라들로 잘 알려져 있죠. 각국의 문화와 역사가 깃든 젓가락 사용법과 그 유래는 매우 흥미롭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젓가락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젓가락 문화의 유래와 장점, 그리고 한국, 중국, 일본의 젓가락 문화 차이에 대해 알아봅니다. ○ 젓가락 잡는 법 : 위 사진 참조   젓가락을 올바르게 잡는 것은 식사 예절의 기본입니다. 올바른 젓가락 잡는 법은 손의 협응력을 길러줄 뿐만 아니라 깔끔하고 예쁘게 음식을 집을 수 있게 합니다.첫 번째 젓가락은 약지와 중지 사이에 끼워 고정합니다. 이렇게 하면 젓가락이 움직이지 않습니다.두 번째 젓가락은 엄지손가락과 검지.. 2024. 9. 10.
한국인의 식사 예법 : 존중, 배려 그리고 감사의 표시 한국인의 식사 예법은 우리의 오랜 전통과 문화가 깃든 중요한 것으로, 한국 사회에서의 예의범절을 나타내는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오늘은 한국인의 식사 예법을 소개하며 그 속에 담긴 의미를 알아봅니다.    한국 음식을 경험하거나 한국 문화를 이해하고자 하는 외국인뿐만 아니라, 한국인 스스로에게도 유익한 정보가 될 것입니다.○ 한국인의 식사 예법 12가지 : 전통과 현대의 조화1. 윗사람이 먼저   식사 자리에서는 항상 나이가 더 많거나, 직위가 더 높은 사람에게 음식을 먼저 권하는 것이 기본이며, 윗사람이 먼저 수저를 들기 전에는 식사를 시작하지 않는 것이 예의입니다. 윗사람을 공경하는 우리의 전통이 반영된 예절입니다. 2. 그릇 들지 않기   우리의 전통적인 식사 예절에서는 밥그릇을 들고 먹지 않는 것.. 2024. 9. 8.
마음의 보름달 한가위 유래, 뜻, 덕담과 우리의 풍속 가을의 한가운데에서 우리는 한가위를 맞습니다. 한가위는 단순한 명절을 넘어서 우리에게는 마음과 전통을 아우르는 특별한 날이기도 하죠. 오늘은 우리 민족의 대명절이자, 마음의 보름달인 한가위의 유래와 뜻, 그리고 함께 나누는 덕담과 풍속을 살펴보며, 한가위의 의미를 알아봅니다. ㅇ 한가위(추석)의 뜻과 유래   한가위는 음력 8월 15일, 즉, 가을의 한가운데에 맞이하는 가장 큰 명절 중 하나입니다. '한가위'라는 말의 의미가 '큰(한) 한가운데(가위) 날'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죠. 한가위보다 오히려 더 많이 쓰이는 말이 추석(秋夕)이라는 명칭인데 '가을(달이 가장 밝은) 저녁'이라는 뜻이며, 또 다른 말로 가위, 가배(추석의 옛말, '가위'의 이두식 표기), 중추절(中秋節, 가을의 가운데)이라고도 합니.. 2024. 9. 7.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 한글, 과학과 창의성이 만난 자부심 세종대왕 문해상은 1989년에 한국 정부의 제의로 유네스코에서 제정한 상으로 문맹 퇴치에 기여한 개인이나 단체에 세종대왕의 이름으로 주는 상입니다. 오늘은 세계적으로 우리 언어의 위상을 맘껏 펼치고 있는 우리말 '한글'에 대해 함께 알아봅니다.      우리말 한글은 1443년 조선 제4대 왕인 세종대왕께서 집현전 학자들과 함께 창제한 문자입니다.     당시 조선은 한자를 사용했으나, 이는 일반 백성들이 배우기 어렵고, 이런 문자로 서로 의사소통을 하기 어려웠습니다. 이런 백성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세종대왕께서 주관하여 만든 문자가 바로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한글이죠. 이런 한글 창제의 취지는 세종대왕의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이 표현된 훈민정음 서문에 잘 나타나 있으며, '훈민정음 언해본'과 '해례본'.. 2024. 9. 6.